반응형

반갑습니다. 코린이 후티입니다.

 

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접할 때 처음으로 볼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변수라는 용어인데 이러한 변수에는 값이 변하는 것과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이 있으며 값을 담아두는 공간을 변수라고 합니다.

 

Variable 변수(var로 정의)

Value 변수(val로 정의 - 상수)

 

고양이만 들어갈 수 있는 캐비닛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 캐비닛에는 강아지나 오리 등과 같은 다른 동물은 들어갈 수가 없는데 이렇게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을 상수라고 하며 이에 반해 고양이, 강아지, 오리 등의 동물이 들어갈 수 있는 것을 변수라고 합니다.

 

 

 

[ 코냥이 -코틀린 냥이 ]

 

 

// 변수 선언 및 자료형
var a: Int = 10 // 정수형
var b = 10.5 // 실수형
var c: Int c = 15
var d = '에' // 문자형
var e = "에듀쉐어" // 문자열형
var f = True // 논리형

// 상수 선언
val c = 30
val c = 50 // error 발생

// 함수 선언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: int {
    var result = a + b + c
    println(result)
    println(d)
    println(e)
    println(f) // 화면 출력
}

 

 

참고로 한 줄 주석처리는 //, 여러 줄을 주석처리할 때는 /*  내용  */

 

변수는 위의 코드와 같이 여러 방식으로 선언이 가능하며 변수에 들어갈 값에 따른 자료형으로는 정수형 / 실수형 / 문자형 / 논리형이 있으며 논리형의 경우 True / False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.

 

연산자로는 산술연산자, 대입연산자, 복합대입연산자, 증감연산자, 비트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가 있습니다. 나열하다보니 많은 연산자들이 존재하는군요. 

 

비트연산자는 2진 bit(비트) 연산을 위한 것으로 직접 장비를 제어하는 등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. 이 부분은 현재에는 별로 필요하지 않을 것 같아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// 산술연산자
var a = 20
var b = 10
var r1 = a + 20 // 덧셈
var r2 = a - b // 뺄셈
var r3 = a * b // 곱셈
var r4 = a / b // 나눗셈(몫)
var r5 = a % b // 나눗셈(나머지)

// 대입연산자 및 복합대입연산자
var c = 30
var d = 20 // 대입연산자
var c += d // c 값에 d 값 더하기
var c -= d
var c *= d
var c /= d
var c %= d

// 증감연산자
var a ++ // a 값에 1 증가
var b -- // b 값에 1 감소

// 비교연산자
var f1 = c > d // c 가 d 보다 크면 True
var f2 = c <= d
var f3 = c == d // c 와 d의 값이 같으면 True
var f4 = != d // c 와 d의 값이 같지 않으면 True
var f5 = c === d // c 와 d의 참조하는 값이 같으면 True
var f6 = c !== d // c 와 d의 참조하는 값이 같지 않으면 True

// 논리연산자
var bo1 = c > 10 && d = 20 // 두 항의 값이 True일 때 Ture 
var bo2 = c < 10 || d = 20 // 두 항의 값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
var bo3 = !c > 20 // 조건에 참이면 False, 조건에 거짓이면 True

// 함수 선언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	
    println(r1)
    println(r2)
    println(r3)
    println(r4)
    println(r5)
    println()
    println(f1)
    println(f2)
    println(f3)
    println(f4)
    println(f5)
    println(f6)
    println()
    println(bo1)
    println(bo2)
    println(bo3)
}
    

 

 

[ 코틀린 - kotlinlang ]

 

 

그럼 조금 쉬었다가

 

이번에는 함수(Functions)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 예정입니다. 한꺼번에 너무 많이 한다고요? 굳이 외울 필요까지는 없을 듯 하며 개념 파악에 중점을 두면 될 듯 합니다. 

 

'함수'란 어떤 작업을 위해 만들어진 코드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함수 정의 외에도 축약해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. 함수에는 클래스 및 함수 내부에서 사용되는 멤버함수(내부함수)가 있습니다.

 

 

var a = 10
var b = 20

/* return값이 없을 때의 기본 형식으로 Unit은 생략 가능
fun 함수명(변수): Unit {
} */ 

/* return값이 있을 때의 기본 형식
fun 함수명(변수): 리턴타입 {
	return 값
} */

// 함수 기본 형식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: Int {
	var return = a + b
    println(retrun)
}

//두 개의 수를 더하는 함수 생성
fun sum(a: Int, b:Int): Int {
	return a + b
}

//위의 함수를 조금 더 줄이면
fun sum(a: Int, b: Int): Int = a + b

//위의 함수를 더 줄이면
fun sum(a: Int, b: Int) = a + b

 

 

자 이렇게 변수와 상수, 자료형, 연산자, 함수에 대해 아주 얄팍하게 알아봤는데요.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알아두면 좋은 기본적인 용어와 내용이었습니다.

 

다음 시간에는 다른 내용으로 코틀린 기초를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. 필자와 같은 코린이분들 모두 화이팅입니다.

 

[에듀쉐어-강좌공유]

반응형

+ Recent posts